"산 제사로 정결하고 거룩한 백성이 되어 구속사 성취에 힘쓰는 교회"

2024/05/19 5

부모 공경의 계명

부모 공경의 계명신 5:16 오늘은 2024년 어버이 주일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믿음의 선배들을 통하여매년 5월 둘째 주일을 어버이 주일로 정하시고, 우리로 하여금 지키도록 하셨습니다. 그 이유는 부모 공경이 기독교인들에게 있어서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부모 공경이 왜 중요할까요? 1. 부모 공경은 하나님의 명령이기 때문입니다.하나님께서는 부모 공경을 계명으로 정해 놓으셨습니다. 계명이 무엇입니까? 바로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명령으로서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하는 법입니다. 출 20:12에서 “네 부모를 공경하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하나님께서는 주전 1446년에 십계명을 선포하시면서 제 5계명으로 ‘부모 공경의 계명’을 법으로 제정하셨습니다. 법은 반드시 지켜야만 되고, 지키지 않..

생명의 양식 2024.05.19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딤후 1:1-5 오늘 본문의 주인공은 디모데입니다. 디모데의 이름은 헬라어로 ‘티모데오스’로서, ‘하나님을 경외(공경)하는 자’라는 뜻입니다. 디모데는 자신의 이름대로 하나님을 경외하므로 먼저 하나님께 인정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딤후 1:2에서 “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사도 바울이 아들로 여길 정도로 디모데는 스승에게도 인정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행 16:2에서 “디모데는 루스드라와 이고니온에 있는 형제들에게 칭찬 받는 자니”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디모데는 자신이 거주하는 루스드라 뿐 아니라 약 32km가 떨어진 이고니온 사람들에게도 인정을 받을 정도로 믿음과 인품이 뛰어난 사람이었습니다. 이와 같이 디모데가 하나님에게도 인정 받고 스승에게도 인..

생명의 양식 2024.05.19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마 1:6 다윗은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첫 번째 14대를 마무리하면서 두 번째 14대를 시작하는 인물입니다. 그런데 두 번째 14대는, 마 1:6에서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솔로몬의 어머니는 밧세바입니다(삼하 12:24). 그런데 왜 ‘다윗은 밧세바에게서’라고 하지 않고,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1. 밧세바보다는 우리야의 충성을 강조한 것입니다.다윗은 밧세바와 간음한 후에, 그녀의 남편 우리야를 전쟁터에서 부르고 밧세바와 동침하도록 유도하였습니다. 그러나 다윗의 사악한 계획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과정에서 우리야라는 충성된 군인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예수..

생명의 양식 2024.05.19

하나님의 비밀이신 그리스도

하나님의 비밀이신 그리스도골 1:26-27 골 1:26에서 “이 비밀은 만세와 만대로부터 옴으로 감취었던 것인데..”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비밀입니다. 그래서 골 2:2에서 “..하나님의 비밀인 그리스도를 깨닫게 하려 함이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그리스도를 믿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님의 비밀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깨달아야 하는 하나님의 비밀은 무엇입니까? 1. 그리스도의 성육신이 비밀입니다.요 1:1에서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성경은 말씀이 하나님이라고 증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 1:14에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말씀이신 하나님이 ..

생명의 양식 2024.05.19

마라가 주는 교훈

마라가 주는 교훈출 15:22-26 마라는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제 4차로 진을 친 장소입니다. 홍해를 도하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수르 광야로 들어와서 사흘 길을 행하였으나 물이 없어서 목마름에 시달렸습니다. 물 한 방울 먹지 못하고 황무지를 헤매다가 마침내 마라에서 그들은 물을 만났습니다. 그러나 출 15:23에서 “마라에 이르렀더니 그곳 물이 써서 마시지 못하겠으므로 그 이름을 마라라 하였더라” 라고 말씀하고 있듯이,마라에 이르러 수원지를 발견했지만 물이 써서 도저히 먹을 수가 없었습니다. ‘마라’의 뜻은 ‘쓴 맛’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마라에서 쓴 맛을 본 것입니다. 사람들이 쓴 맛을 보게 되면, 대개의 경우 그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누군가를 원망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들도 모세..

생명의 양식 2024.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