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제사로 정결하고 거룩한 백성이 되어 구속사 성취에 힘쓰는 교회"

2024/07 5

12개의 보석을 가진 흉패

개의 보석을 가진 흉패 >출 39:8-13 대제사장의 예복은 호화롭고 장엄하며 신비하게 보입니다. 그 이유는 대제사장 흉패에 달린 12개의 보석 때문입니다. 흉패는 문자 그대로 대제사장이 에봇 위의 가슴 부분에 붙이는 큰 패를 가리킵니다. 오늘은 대제사장이 가슴에 붙이고 있었던 12개의 보석을 가진 흉패를 통하여 은혜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1. 12개의 보석은 네모 반듯한 흉패 위에 3개씩 4줄로 달렸습니다. 출 39:8-9에서 “(8)그가 또 흉패를 공교히 짜되.. (9)그것의 장이 한 뼘, 광이 한 뼘으로 네모 반듯하고..”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12개의 보석은 네모 반듯한 흉패 위에 달렸습니다. 그런데 아무렇게 달리지 않고, 출 39:10에서 “그것에 네 줄 보석을 물렸으니 곧 홍보석 황옥 녹주옥..

생명의 양식 2024.07.01

애굽에 내린 열가지 재앙 2

애굽에 내린 열가지 재앙 2 >출 9:8-11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애굽에 내린 여섯 번째부터 열 번째까지의 재앙을 살펴보고 그 속에 담긴 구속사적 의미를 통하여 은혜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6. 독종 재앙제 6차 재앙은 모세가 풀무의 재 두 움큼을 취하여 바로의 목전에서 하늘을 향하여 날리니, 그 재가 티끌이 되어 애굽 온 땅의 사람과 짐승에게 붙어서 독종이 생겼습니다(출 9:8-9). 그런데 중요한 것은 출 9:11에서 “..독종이 술객들로부터 애굽 모든 사람에게 발하였음이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독종이 바로에게 속한 애굽 사람에게만 발하였다는 것입니다. 여기 ‘독종’은 속살까지 썩게 하는 화농을 일으켜 물집과 극도의 가려움이 생기는 악성 피부병을 말합니다. 그래서 개역개정 성경에서는 ‘독종’..

생명의 양식 2024.07.01

애굽에 내린 열가지 재앙

애굽에 내린 열가지 재앙 >출 7:14-19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 출애굽 하기 직전에 열가지 재앙을 일으키셨고, 이로 인해 바로와 애굽 백성은 이스라엘 백성을 내보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오늘은 애굽에 내린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까지의 재앙을 살펴보고 그 속에 담긴 구속사적 의미를 통하여 은혜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1. 피 재앙출 7:17에서 “내가 내 손의 지팡이로 하수를 치면 그것이 피로 변하고”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제 1차 재앙은 나일강을 비롯한 모든 물들을 피로 바꾸는 재앙이었습니다. 나일강은 애굽인들에게 어업과 농업 용수의 원천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나일강을 치시므로, 출 7:21에서 “하수의 고기가 죽고 그 물에서는 악취가 나니 애굽 사람들이 하수물을 마시지 못하며”라고 말씀하고 ..

생명의 양식 2024.07.01

만나에 담긴 영적 교훈 2

만나에 담긴 영적 교훈 2 >민 11:7-8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먹었던 만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상징하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있습니다. 요 6:49-50에서 “(49)너희 조상들은 광야에서 만나를 먹었어도 죽었거니와 (50)이는 하늘로서 내려오는 떡이니 사람으로 하여금 먹고 죽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니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만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만나를 먹는 방법을 통하여서 생명의 만나이는 예수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만나는 맷돌에 갈았습니다.민 11:8에서 “백성이 두루 다니며 그것을 거두어 맷돌에 갈기도 하며..”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맷돌은 곡식을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데 쓰이는 기구입니다. 그래서 여기 ‘갈다’는 히브리어로 ‘타한’..

생명의 양식 2024.07.01

만나에 담긴 영적 교훈

만나에 담긴 영적 교훈>출 16:15 출 16:15에서 “이는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주어 먹게 하신 양식이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만나는 하나님께서 출애굽 하여 광야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신 양식입니다. 당시 애굽에도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바벨론에도 사람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세상 여러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었지만 하나님께서는 오직 광야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만 만나를 내려 주셨습니다. 행 7:38에서 “우리 조상들과 함께 광야 교회에 있었고”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생활은 오늘날 교회 생활을 예표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광야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내려 주셨던 만나는, 오늘날 교회 생활을 하는 성도들에게 내려 주시는 말씀을 상징합니다. 만나에..

생명의 양식 2024.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