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제사로 정결하고 거룩한 백성이 되어 구속사 성취에 힘쓰는 교회"

생명의 양식 145

애굽에 내린 열가지 재앙 2

애굽에 내린 열가지 재앙 2 >출 9:8-11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애굽에 내린 여섯 번째부터 열 번째까지의 재앙을 살펴보고 그 속에 담긴 구속사적 의미를 통하여 은혜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6. 독종 재앙제 6차 재앙은 모세가 풀무의 재 두 움큼을 취하여 바로의 목전에서 하늘을 향하여 날리니, 그 재가 티끌이 되어 애굽 온 땅의 사람과 짐승에게 붙어서 독종이 생겼습니다(출 9:8-9). 그런데 중요한 것은 출 9:11에서 “..독종이 술객들로부터 애굽 모든 사람에게 발하였음이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독종이 바로에게 속한 애굽 사람에게만 발하였다는 것입니다. 여기 ‘독종’은 속살까지 썩게 하는 화농을 일으켜 물집과 극도의 가려움이 생기는 악성 피부병을 말합니다. 그래서 개역개정 성경에서는 ‘독종’..

생명의 양식 2024.07.01

애굽에 내린 열가지 재앙

애굽에 내린 열가지 재앙 >출 7:14-19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 출애굽 하기 직전에 열가지 재앙을 일으키셨고, 이로 인해 바로와 애굽 백성은 이스라엘 백성을 내보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오늘은 애굽에 내린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까지의 재앙을 살펴보고 그 속에 담긴 구속사적 의미를 통하여 은혜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1. 피 재앙출 7:17에서 “내가 내 손의 지팡이로 하수를 치면 그것이 피로 변하고”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제 1차 재앙은 나일강을 비롯한 모든 물들을 피로 바꾸는 재앙이었습니다. 나일강은 애굽인들에게 어업과 농업 용수의 원천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나일강을 치시므로, 출 7:21에서 “하수의 고기가 죽고 그 물에서는 악취가 나니 애굽 사람들이 하수물을 마시지 못하며”라고 말씀하고 ..

생명의 양식 2024.07.01

만나에 담긴 영적 교훈 2

만나에 담긴 영적 교훈 2 >민 11:7-8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먹었던 만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상징하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있습니다. 요 6:49-50에서 “(49)너희 조상들은 광야에서 만나를 먹었어도 죽었거니와 (50)이는 하늘로서 내려오는 떡이니 사람으로 하여금 먹고 죽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니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만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만나를 먹는 방법을 통하여서 생명의 만나이는 예수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만나는 맷돌에 갈았습니다.민 11:8에서 “백성이 두루 다니며 그것을 거두어 맷돌에 갈기도 하며..”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맷돌은 곡식을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데 쓰이는 기구입니다. 그래서 여기 ‘갈다’는 히브리어로 ‘타한’..

생명의 양식 2024.07.01

만나에 담긴 영적 교훈

만나에 담긴 영적 교훈>출 16:15 출 16:15에서 “이는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주어 먹게 하신 양식이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만나는 하나님께서 출애굽 하여 광야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신 양식입니다. 당시 애굽에도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바벨론에도 사람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세상 여러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었지만 하나님께서는 오직 광야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만 만나를 내려 주셨습니다. 행 7:38에서 “우리 조상들과 함께 광야 교회에 있었고”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생활은 오늘날 교회 생활을 예표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광야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내려 주셨던 만나는, 오늘날 교회 생활을 하는 성도들에게 내려 주시는 말씀을 상징합니다. 만나에..

생명의 양식 2024.07.01

부모 공경의 계명

부모 공경의 계명신 5:16 오늘은 2024년 어버이 주일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믿음의 선배들을 통하여매년 5월 둘째 주일을 어버이 주일로 정하시고, 우리로 하여금 지키도록 하셨습니다. 그 이유는 부모 공경이 기독교인들에게 있어서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부모 공경이 왜 중요할까요? 1. 부모 공경은 하나님의 명령이기 때문입니다.하나님께서는 부모 공경을 계명으로 정해 놓으셨습니다. 계명이 무엇입니까? 바로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명령으로서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하는 법입니다. 출 20:12에서 “네 부모를 공경하라”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하나님께서는 주전 1446년에 십계명을 선포하시면서 제 5계명으로 ‘부모 공경의 계명’을 법으로 제정하셨습니다. 법은 반드시 지켜야만 되고, 지키지 않..

생명의 양식 2024.05.19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딤후 1:1-5 오늘 본문의 주인공은 디모데입니다. 디모데의 이름은 헬라어로 ‘티모데오스’로서, ‘하나님을 경외(공경)하는 자’라는 뜻입니다. 디모데는 자신의 이름대로 하나님을 경외하므로 먼저 하나님께 인정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딤후 1:2에서 “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사도 바울이 아들로 여길 정도로 디모데는 스승에게도 인정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행 16:2에서 “디모데는 루스드라와 이고니온에 있는 형제들에게 칭찬 받는 자니”라고 말씀하고 있듯이, 디모데는 자신이 거주하는 루스드라 뿐 아니라 약 32km가 떨어진 이고니온 사람들에게도 인정을 받을 정도로 믿음과 인품이 뛰어난 사람이었습니다. 이와 같이 디모데가 하나님에게도 인정 받고 스승에게도 인..

생명의 양식 2024.05.19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마 1:6 다윗은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첫 번째 14대를 마무리하면서 두 번째 14대를 시작하는 인물입니다. 그런데 두 번째 14대는, 마 1:6에서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솔로몬의 어머니는 밧세바입니다(삼하 12:24). 그런데 왜 ‘다윗은 밧세바에게서’라고 하지 않고,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1. 밧세바보다는 우리야의 충성을 강조한 것입니다.다윗은 밧세바와 간음한 후에, 그녀의 남편 우리야를 전쟁터에서 부르고 밧세바와 동침하도록 유도하였습니다. 그러나 다윗의 사악한 계획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과정에서 우리야라는 충성된 군인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예수..

생명의 양식 2024.05.19